지오캐싱(geocaching)은 한마디로 "GPS를 이용한 첨단 보물찾기"입니다. 요즘 제가 가장 즐기는 레포츠죠. 매주말이면 여기저기 캐시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다니고 있습니다. 하루에 대여섯시간씩 걷는 건 기본이고 10시간 넘게 걸어다니기도 합니다. 물론 재미있습니다.
요즘은 퍼즐캐시에 빠져 있습니다. 퍼즐캐시(Puzzle cache)란, 캐시가 숨겨져 있는 좌표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문제를 풀어야 하는 캐시입니다. 물론 쉬운 것도 있지만, 겉으로 보기엔 전혀 짐작이 안가는, 매우 어려운 퍼즐도 많습니다. 우리나라 지오캐시 리뷰어(Reviewer)인 미국인 뉴요커님이 만든 배틀십(Battleship)의 경우, 올해 초에 발행되었는데 저를 포함해 아무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그런 퍼즐캐시에 빠지다보니 이런 저런 퍼즐들을 살펴보고 있고, 그런 와중에 퍼즐을 해결하는 방법을 담은 글을 만나 번역했습니다. 이 글은 Lesson 1 : 전략에 이은 두번째 글입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퍼즐을 해결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방법들이 모든 퍼즐 캐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이러한 접근방법 중 한두개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퍼즐 캐시의 목표는 좌표를 구하는 것입니다. 캐시 설명에 어떤 포맷인지 설명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자체를 스스로 알아내도록 하는 퍼즐도 있습니다. 따라서 퍼즐을 풀기 위해서는 찾고자하는 목표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캐시 좌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N/S DDº MM.MMM’ E/W DDDº MM.MMM’
여기에서 “N/S” 는 북(north) 또는 남(south), “E/W”는 동(east) 또는 서(west) 이며, “DDº” 는 각도의 도, “MM.MMM’”는 각도의 분 입니다.
퍼즐 제작자는 혼동을 일으킬 목적으로 일부러 소숫점이나 공백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전형적으로 14자리(경도가 100이하일 경우), 또는 15자리(경도가 100이상인 경우)를 구하는 것이 됩니다. 물론 우리나라의 경우엔 15자리입니다.
요점은, 해답이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아마도 한쌍의 좌표(위도 및 경도)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면 된다는 것입니다.
퍼즐 캐시 제작자에 따라서는 좀더 생각을 하도록 만들기 위해 다른 형태의 포맷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지구상에서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을 지리적좌표계(geographic coordinate system)이라고 하는데 종류가 아주 많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동일한 위치를 다른 형태로 표기하는 것 뿐입니다.
DD MM.MMM 포맷대신 DD.DDDDD 포맷(각도를 도로 표시)이나 DD MM SS(도분초로 표시)으로 표시하는 것은 몇번 보셨을 줄 압니다. 어떤 때는 UTM(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으로도 표시합니다. (캐시 정보 페이지를 보시면 경도/위도 바로 아래에 UTM 포맷으로 좌표가 표현되어 있습니다.)
캐시 설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캐시 정보페이지에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퍼즐 캐시의 최종 좌표는 표시된 좌표로부터 2마일 이내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 한계에 따라, 퍼즐의 해답이 한층 한정됩니다.
우리나라 서울 부근(N 37.5도, E 127도)에서는 2마일이 경도로는 2.2분, 위도로는 1.8분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퍼즐캐시의 시작점 좌표가 N 37° 28.878 E 126° 56.182 이라면, 퍼즐을 전혀 해결하지 못했다고 해도, 최종좌표의 위도는 대략 N 37° 27.078 - N 37° 30.078 경도는 E126° 53.982 - E 126° 58.382 내에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최종좌표 7+8자리 중에서 위도(N)은 항상 3 7 2 또는 3 7 3 으로 시작되고, 경도(E)는 1 2 6 5 로 시작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해답이 맞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이 생겼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예를 들어 7자리와 8자리의 숫자열이 있을 때, 첫번째 열이 372로 시작하고 두번째 열이 1265로 시작한다면 그 해독방법이 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 801 또는 1272와 같은 수로 시작되다면 틀렸을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캐시 페이지중 어떤 곳에도 정보가 숨겨져 있거나, 힌트가 제공될 수 있습니다. 퍼즐을 풀겠다면, 퍼즐 페이지에 단서가 될만 한 모든 곳을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캐시 정보페이지 중에서 소유자가 수정할 수 있는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
캐시정보에서 익숙하지 않은 용어를 만나면 찾아보세요. 퍼즐을 푸는 사람이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를 들라고 하면 구글(Google)과 위키피디아(Wikipedia)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를 해석하는데는 약간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위키피디아의 경우 조심해야 합니다. 누구나 자신이 정확한지 아닌지 확인도 하지않고 마음대로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혹은 부정확한 정보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하여 여러분의 정보를 가능한 한 다른 곳과 비교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많은 퍼즐에는 설명 페이지에 그림을 사용합니다. 이 그림에는 퍼즐 요소가 포함될 수도 있지만, 단순한 미끼일 수도 있습니다. 즉, 진짜 퍼즐 정보는 그림의 속성(properties)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림의 정보를 보시려면 그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속성을 누르시면 됩니다. 다이얼로그 박스에는 그림의 URL, 크기, 제목(마우스를 그림위에 올렸을 때 나타남), 대체 문자(그림이 표시되지 않을 때 대신 표시되는 문자)이 들어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이 퍼즐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캐시정보 페이지 속에 들어있는 모든 링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사진에 링크가 있을 경우 대부분 경계선이 둘러쳐 있지만, 퍼즐을 내는 사람은 경계선이 나타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보이는 모든 것을 클릭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퍼즐캐시 설명은 단순한 문자 이상인 경우가 있습니다. 웹브라우저에서 멋있게 보이게 쓰여져 있고, 색깔이나 크기가 다른 문자, 사진, 테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페이지의 소스에 퍼즐 해답을 찾을 수 있는 힌트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페이지 소스를 보려면 캐시 설명 페이지로 가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소스보기(IE), 페이지 소스보기(Chrome)을 누르면 됩니다. 메인메뉴에서 보기 > 소스보기 로 들어가셔도 됩니다. 소스보기를 실행하면 아주 이상한 컴퓨터 명령어로 가득찬 화면이 뜨게 됩니다. 이 명령어는 HTML이라는 언어로서, 캐시 설명 페이지를 어떻게 그리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설명에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 외에도 태그(tag)라고 하는 컴퓨터 명령도 들어 있습니다. 태그는 "<"로 시작하며, 그 뒤 영어로 된 태그 단어가 오고, 일부는 그 태그에 해당하는 변수가 온 뒤 마지막으로 ">"로 끝나게 됩니다. 파이어폭스에서는 태그가 종류별로 색이 다르게 표현되므로, 읽기가 쉽습니다.
대부분의 캐시 설명문 내용은 "Long Description" 부분에 들어 있습니다. 소스코드에서 Ctrl-F 키를 누른 뒤 "LongDescription"을 검색하면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Puzzle Solving 101 - Lesson 2: Tactics를 번역한 것입니다. 이 글에 들어가 맨 아래쪽에 가보시면 그림으로 된 퍼즐이 있습니다. 이걸 풀어 보시면 다른 퍼즐캐시를 푸는 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민, 푸른하늘
요즘은 퍼즐캐시에 빠져 있습니다. 퍼즐캐시(Puzzle cache)란, 캐시가 숨겨져 있는 좌표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문제를 풀어야 하는 캐시입니다. 물론 쉬운 것도 있지만, 겉으로 보기엔 전혀 짐작이 안가는, 매우 어려운 퍼즐도 많습니다. 우리나라 지오캐시 리뷰어(Reviewer)인 미국인 뉴요커님이 만든 배틀십(Battleship)의 경우, 올해 초에 발행되었는데 저를 포함해 아무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그런 퍼즐캐시에 빠지다보니 이런 저런 퍼즐들을 살펴보고 있고, 그런 와중에 퍼즐을 해결하는 방법을 담은 글을 만나 번역했습니다. 이 글은 Lesson 1 : 전략에 이은 두번째 글입니다.
개요
이 글에서는 제가 퍼즐을 해결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방법들이 모든 퍼즐 캐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이러한 접근방법 중 한두개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좌표
대부분의 퍼즐 캐시의 목표는 좌표를 구하는 것입니다. 캐시 설명에 어떤 포맷인지 설명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자체를 스스로 알아내도록 하는 퍼즐도 있습니다. 따라서 퍼즐을 풀기 위해서는 찾고자하는 목표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캐시 좌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N/S DDº MM.MMM’ E/W DDDº MM.MMM’
여기에서 “N/S” 는 북(north) 또는 남(south), “E/W”는 동(east) 또는 서(west) 이며, “DDº” 는 각도의 도, “MM.MMM’”는 각도의 분 입니다.
퍼즐 제작자는 혼동을 일으킬 목적으로 일부러 소숫점이나 공백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전형적으로 14자리(경도가 100이하일 경우), 또는 15자리(경도가 100이상인 경우)를 구하는 것이 됩니다. 물론 우리나라의 경우엔 15자리입니다.
요점은, 해답이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아마도 한쌍의 좌표(위도 및 경도)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면 된다는 것입니다.
다른 포맷
퍼즐 캐시 제작자에 따라서는 좀더 생각을 하도록 만들기 위해 다른 형태의 포맷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지구상에서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을 지리적좌표계(geographic coordinate system)이라고 하는데 종류가 아주 많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동일한 위치를 다른 형태로 표기하는 것 뿐입니다.
DD MM.MMM 포맷대신 DD.DDDDD 포맷(각도를 도로 표시)이나 DD MM SS(도분초로 표시)으로 표시하는 것은 몇번 보셨을 줄 압니다. 어떤 때는 UTM(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으로도 표시합니다. (캐시 정보 페이지를 보시면 경도/위도 바로 아래에 UTM 포맷으로 좌표가 표현되어 있습니다.)
퍼즐캐시 근접 규칙(2 마일 한계의 법칙)
캐시 설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캐시 정보페이지에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퍼즐 캐시의 최종 좌표는 표시된 좌표로부터 2마일 이내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 한계에 따라, 퍼즐의 해답이 한층 한정됩니다.
우리나라 서울 부근(N 37.5도, E 127도)에서는 2마일이 경도로는 2.2분, 위도로는 1.8분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퍼즐캐시의 시작점 좌표가 N 37° 28.878 E 126° 56.182 이라면, 퍼즐을 전혀 해결하지 못했다고 해도, 최종좌표의 위도는 대략 N 37° 27.078 - N 37° 30.078 경도는 E126° 53.982 - E 126° 58.382 내에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최종좌표 7+8자리 중에서 위도(N)은 항상 3 7 2 또는 3 7 3 으로 시작되고, 경도(E)는 1 2 6 5 로 시작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해답이 맞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이 생겼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예를 들어 7자리와 8자리의 숫자열이 있을 때, 첫번째 열이 372로 시작하고 두번째 열이 1265로 시작한다면 그 해독방법이 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 801 또는 1272와 같은 수로 시작되다면 틀렸을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캐시 정보 페이지 내용
캐시 페이지중 어떤 곳에도 정보가 숨겨져 있거나, 힌트가 제공될 수 있습니다. 퍼즐을 풀겠다면, 퍼즐 페이지에 단서가 될만 한 모든 곳을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캐시 정보페이지 중에서 소유자가 수정할 수 있는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
- 캐시명(Cache name)
- 캐시 소유자 이름(Cache owner’s name)
- 관련 웹페이지(Related web page)
- 배경사진 URL(Background image URL)
- 짧은 설명(Short description)
- 긴 설명(Long description)
- 힌트(Hints)
- 로그(Log entries)
모르는 용어는 찾아보세요.
캐시정보에서 익숙하지 않은 용어를 만나면 찾아보세요. 퍼즐을 푸는 사람이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를 들라고 하면 구글(Google)과 위키피디아(Wikipedia)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를 해석하는데는 약간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위키피디아의 경우 조심해야 합니다. 누구나 자신이 정확한지 아닌지 확인도 하지않고 마음대로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혹은 부정확한 정보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하여 여러분의 정보를 가능한 한 다른 곳과 비교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사진과 링크
많은 퍼즐에는 설명 페이지에 그림을 사용합니다. 이 그림에는 퍼즐 요소가 포함될 수도 있지만, 단순한 미끼일 수도 있습니다. 즉, 진짜 퍼즐 정보는 그림의 속성(properties)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림의 정보를 보시려면 그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속성을 누르시면 됩니다. 다이얼로그 박스에는 그림의 URL, 크기, 제목(마우스를 그림위에 올렸을 때 나타남), 대체 문자(그림이 표시되지 않을 때 대신 표시되는 문자)이 들어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이 퍼즐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캐시정보 페이지 속에 들어있는 모든 링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사진에 링크가 있을 경우 대부분 경계선이 둘러쳐 있지만, 퍼즐을 내는 사람은 경계선이 나타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보이는 모든 것을 클릭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소스보기 활용
퍼즐캐시 설명은 단순한 문자 이상인 경우가 있습니다. 웹브라우저에서 멋있게 보이게 쓰여져 있고, 색깔이나 크기가 다른 문자, 사진, 테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페이지의 소스에 퍼즐 해답을 찾을 수 있는 힌트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페이지 소스를 보려면 캐시 설명 페이지로 가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소스보기(IE), 페이지 소스보기(Chrome)을 누르면 됩니다. 메인메뉴에서 보기 > 소스보기 로 들어가셔도 됩니다. 소스보기를 실행하면 아주 이상한 컴퓨터 명령어로 가득찬 화면이 뜨게 됩니다. 이 명령어는 HTML이라는 언어로서, 캐시 설명 페이지를 어떻게 그리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설명에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 외에도 태그(tag)라고 하는 컴퓨터 명령도 들어 있습니다. 태그는 "<"로 시작하며, 그 뒤 영어로 된 태그 단어가 오고, 일부는 그 태그에 해당하는 변수가 온 뒤 마지막으로 ">"로 끝나게 됩니다. 파이어폭스에서는 태그가 종류별로 색이 다르게 표현되므로, 읽기가 쉽습니다.
대부분의 캐시 설명문 내용은 "Long Description" 부분에 들어 있습니다. 소스코드에서 Ctrl-F 키를 누른 뒤 "LongDescription"을 검색하면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Puzzle Solving 101 - Lesson 2: Tactics를 번역한 것입니다. 이 글에 들어가 맨 아래쪽에 가보시면 그림으로 된 퍼즐이 있습니다. 이걸 풀어 보시면 다른 퍼즐캐시를 푸는 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민, 푸른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