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신: Mogao는 ByteDance 의 최신 모델인 Seedream 3.0 으로 밝혀졌습니다. 현재는 이미지 아레나에서 2등으로 내려앉았네요.
====
이미지 생성형 인공지능 세계에 또다른 게임체인저가 등장해서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그의 이름은 모가오(Mogao) 입니다. 현제 웹사이트도, 주소도 없고, 심지어는 로고도 없습니다. 그냥 며칠전에 이미지 아레나에 등장해서 2025년 4월 14일 현재 1위를 차지했습니다. GPT-4o까지 밀어내고요!
4월 초부터 ArtificialAnalysis.ai의 이미지 아레나의 변화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본 사람들은, 공식 순위에는 없지만 블라인드 테스트에서 매우 활발하게 나타난 모가오라는 모델을 주목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는 그다지 눈에 띄지 않았습니다. 저 개인적으로 요즘 2-3일에 한번씩은 이미지 아레나를 보곤 하는데 엊그제만해도 없었거든요. 적어도 10위권 내에서는요. 다만 Rebiit의 여러 사용자들이 복잡한 프롬프트를 입력해도 풍부하고 일관성이 있으며, 심미적으로도 강력한 렌더링을 생성하는 등, 이미지 품질이 "놀랍도록 훌륭하다"고 언급했습니다.
테스터 중 한분은 아래와 같이 언급했습니다.
최근 1:1 대결(duel)에서 여러번 마주쳤는데, 거의 매번 모가오가 승리했다. 정말 흥미로웠다
그 결과 2025년 4월 14일 월요일 현재, 이 모델의 품질은 이미지 아레나에서 1등을 차지하며 등장하였습니다. OpenAI에서 개발한, 불과 2주일정도 전부터 1등을 차지하고 있던, 그리고 전세계적인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GPT-4o를 2등으로 밀어내고 말이죠.
이렇게 익명으로 등장하는 사례는 처음이 아닙니다. 레드 판다(Red Panda, 현재 ReCraft), 하프문(Halfmoon, 현재 Reve) 등도 처음에 익명으로 테스트 받은 후에 고위치에 오른 후에 정체를 밝히는 전략을 사용했었죠.
이런 전략을 취하는 이유는, 새로운 모델이 등장했을 때 투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보다 "중립적인" ELO 평가를 유도할 수 있으며 미스터리라는 입소문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모가오도 이러한 궤도를 따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대중에게 폭발적인 새로운 폭탄이 될 것이 확실해 보입니다.
![]() |
![]() |
Mogao는 누구일까?
모가오란 이름은 어디에서 왔을까요?
가장 그럴듯해 보이는 참조는 천년이상된 프레스코화로 유명한 중국의 불교 유적지 모가오 동굴(Mogao Caves)로 보입니다. 이로부터 몇가지 추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인공지능 비디오 분야의 Kling이나 MiniMax와 유사한 중국의 스타트업??
- 모가오라는 코드명을 사용하는 대학이나 R&D 센터?
- Black Forest(FLUX), Stability AI(SD) 또한 이와 비슷한 기업이 새로운 버전을 테스트하기 위한 위장 버전?
어떤 경우이던, 레드판다(Recraft) 사례에서 볼 수 있었던 것처럼 미스리 자체는 성공한 것 같네요.
![]() |
![]() |
뭐... 이미지 아레나에서 1등을 했으니, 아마도 2-3일 내로는 정체가 드러나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현재의 이미지 생성형 AI 시장을 보니, 이것이 끝이 아닐 것 같다는 느낌이네요.
이상입니다.
이 글은 stablediffusion.blog의 글을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