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어스/구글맵 641

멋진 구글맵 API 응용사례 2가지(Two new case studies)

7월 23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1주일도 더 전에 나온 소식인데... 제가 어제 저녁에 출장에서 돌아와서 이제야 포스팅하게 되었네요. 대략... 구글맵을 잘 활용하고 있는 기관과, 그 사례를 소개하는 홍보사이트를 홍보하는 내용입니다. 이 홍보사이트에 대한 첫 구글 LatLong 소식에는 아래와 같은 3개의 사례가 소개되어 있었는데, 이번에 2개를 추가했다는 내용입니다. Trulia : http://www.trulia.com/ : 부동산 소개 (제 블로그의 글을 참고하세요) Kayak : http://www.kayak.com/ : 여행 안내, 예약 서비스KPBS : http://www.kpbs.org/ : 개인지도(My Maps)를 이용한 샌디에고 산불지도(제 블로그의 글을 참조하세요..

구글맵, 보행자용 경로안내 서비스 개시(Pound the pavement)

7월 22일자 구글 LatLong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맵에서 보행자용 경로안내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부 내비게이션 업체 및 휴대폰용 내비게이션에서 "뚜벅이 모드"라는 이름으로 보행자용 경로안내를 지원해주고 있지만, 인터넷지도에서는 보행자용 경로안내를 해 주는 경우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혹시 있다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이 기능은 꽤 유용한 기능이라고 생각됩니다. 특히, 핸드폰이나 PDA등을 통해 경로안내를 할 경우에는 아주 유용할 것입니다. 현재 핸드폰을 사용한 내비게이션은 자사 서비스(SKT-네이트드라이브, KTF-케이웨이즈, LGT-이지드라이브 등)만을 이용할 수 밖에 없지만, 오즈폰과 같이 풀브라우징이 지원되는 장치가 늘어나고(여기 참조), 무선인터넷 ..

아이들에게 구글어스를 가르쳐보니...(Summer camp, Google Earth style!)

7월 21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 직원의 아이들을 구글 본사에 초청해, 1주일 동안 구글어스를 비롯한 지오 제품들에 대해 소개했다는 내용입니다. 그 아이들이 구글어스나 구글맵 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주고받은 문답내용이 소개되어 있고요. 아이들에게 지도는 정말 흥미로운 교육자료라고 생각합니다. 저만 특이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어릴적, 사회과부도를 가지고 친구나 동생들과 함께 지명찾기 하며 놀던 기억, 외국의 수도 이름을 외우던 기억 등 여러가지 지도를 가지고 놀던 기억이 나거든요. 지금은 구글어스나 버추얼어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다양한 인터넷지도가 존재해서 아이들도 정말 쉽게 지도를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정말 아이들이 지도를 더 쉽게, 흥미롭게 사..

ArcGIS Javascript API와 구글맵의 결합

올해 5월초 캘리포니아에서 열렸던 "where2.0" 컨퍼런스에서, 구글어스 팀의 수장인 John Hanke와 세계 최대의 GIS 프로그램인 ArcGIS를 보급하고 있는 ESRI의 대표 Jack Dangermond가 공동으로 Geoweb에 대한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발표를 했었습니다. 그중에서 제가 가장 관심을 가졌던 것이 ArcGIS 9.3에서 Javascript API를 제공할 예정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가 올렸던 글, G-life님의 글과 Google Earth Blog의 글(여기도 보세요)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전에도 ArcGIS에서 분석한 결과를 KML로 변환하여 구글어스나 구글맵에 올려볼 수 있는 방법은 존재했습니다. ArcGIS에서 별도의 프로그램도 제공하였고, Arc2Ea..

구글 스케치업, 주택 디자인 콘테스트 공모(Design your dwelling)

7월 16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의 3차원 모델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스케치업 툴을 이용해 주택을 설계하는 콘테스트를 연다는 소식입니다. 콘테스트 공식 웹사이트를 들어가 보시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는데, 먼저 kmz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아래 그림의 위치에 스케치업(Sketchup)으로 주택을 설계하신 후, Google 3D 이미지갤러리(Warehouse)에 올리면 됩니다. 건물의 면적은 250 평방미터를 초과해서는 안되며, 기후나 접근로 등을 고려해서 설계해야 한다고 합니다. 자세한 규칙은 pdf 파일을 읽어보시면 됩니다. 마감일은 8월 31일이고, 1등을 차지하신 분은 9월 12일에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하여 위 지역을 방문하고, 여러가지 행사를 갖는다고 하네요...

워싱턴의 3D자료를 구글에 제공한 이유(Our city in 3D)

7월 16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며칠 전에 구글 3차원 도시 프로그램의 성과발표라는 글에서 캐나다 뱅쿠버 아일랜드에 위치한 나나이모 시에서 구글에 제공한 3차원 모델을 소개드렸습니다. 나나이모 시외에도 많은 도시들에서 3차원 모델을 제공했는데, 그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 였습니다. 아래는 이번에 추가된 워싱턴 D.C.의 3D 모델을 캡처해본 것입니다. 첫번째는 오벨리스크 형태의 모뉴먼트로, 뒷편에 멀리 보이는 건물이 링컨 기념관입니다. 다음은 미국 국회의사당 빌딩입니다. 멀리 뒤로 엄청나게 많은 건물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총 10만여개에 달한다고 하네요. ==== 이전 글의 원문 맨 아래쪽을 보면, 워싱턴 D.C.의 GIS 매니저가, 왜 자신들의 데..

구글어스 영상추가 해답(Where in the world is... (Answers))

7월 15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어제 전해드린 구글어스 영상추가(Where in the world is...) 소식의 해답입니다. 맨 아래로 내려보시면, 이번에 영상이 추가된 지역을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렸던 것처럼 우리나라는 이번엔 제외되었네요. 그런데... 원문을 읽으면서, "2.5미터 기본영상"이라는 표현을 새삼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구글어스에서 대도시지역은 60cm급 고해상도 영상 또는 항공사진이 사용되고 있고, 기타지역은 30미터짜리 위성영상이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사실 30미터짜리 위성영상으로는 엄청나게 큰 건물이 아닌 이상 구분하기 힘들어 일반인들에게는 유용하지 못합니다. 그런데, 2.5m 짜리 SPOT영상을 기본 영상(base ima..

구글 3차원 도시 프로그램의 성과 발표(Cities in 3D program in action)

7월 15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지난 3월 구글에서 시작하였던 3차원 도시 프로그램의 성과가 나왔다는 내용입니다. 3차원 도시프로그램이란,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작한 3D 모델을 구글에 보다 쉽게 탑재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과거에는 어떤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3D 모델을 구글에 제공하려면 구글 3D 이미지갤러리(Warehouse)에 올리는 방법뿐이 없었지만, 3차원 도시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보다 체계적으로 한꺼번에 올릴 수 있고, 기술적인 협력도 지원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쨌든... 아래에 있는 본문을 보시면 약 4개월 동안 3차원 도시 프로그램을 통해 구글어스에서 3차원으로 변신한 도시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물론, 워싱턴 DC를 제외하면 ..

구글어스 영상추가(Where in the world is...)

7월 14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에 위성영상/항공사진이 추가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이번에도 퀴즈형식으로 나왔기 때문에 내용은 번역하지 않았습니다. 내일 해답이 나온다니 기다려 보시면 되고요, Google Earth Blog에는 이미 이 사실을 알고, 영상이 추가된 지역에 관해 리스트를 작성해 두었습니다. 이번에 업데이트된 지역은 스페인, 포르투갈,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오스트랠리아, 미국, 멕시코, 이탈리아, 베네주엘라, 독일, 캐나다, 캘리포니아, 영국, Cote d'lvoire 등입니다. 우리나라 지역이 갱신되었는지는 확인하는 방법은 여기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대략 살펴봤지만, 이번엔 갱신이나 추가된 지역이 없는 것 같네요. 혹시 추가된 영상을 발견하셨..

구글어스 KML 활용방법(Learning about Earth)

7월 11일자 구글 LatLong 블로그 소식입니다. 구글어스에 자신의 정보를 표시하고, 공유하는데 사용되는 KML과, 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사이트인 구글어스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소개입니다. 크게 3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맨 처음은 구글어스에 포함된 레이어들을 켜거나 끄는 방법, 두번째는 이들 레이어가 사실 구글에서 직접 생산한 정보는 거의 없고, 다른 파트너들이 생산한 자료들이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세번째는 구글어스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자신이 제작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저처럼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올리는 방법도 있지만, 구글어스 커뮤니티에 올리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수많은 사용자들이 서로 검증해 주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