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쿼드콥터 238

클린플라이트 설정 - 설치 - Installation

설치(Installation) 설정프로그램(Configurator) 사용하기 아래는 Cleanflight 설치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보드를 초기화하는 일반적인 절차입니다. Cleanflight 설치프로그램은 모든 보드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진행하기 전에 가지고 계신 보드가 가능한지 문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먼저 설치프로그램(Configurator)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비행콘트롤러를 PC에 연결합니다.Cleanflight 설정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자동으로 보드가 연결되었다면, "Disconnect" 를 클릭합니다."펌웨어 초기화(Firmware Flasher)" 탭을 클릭합니다.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Load Firmware[Online]" 버튼을 클릭합니다."펌웨어/보드 선택(Choo..

드론 쿼드콥터 2016.09.07

클린플라이트 설정 - 안전 - Safety

안전(Safety) 많은 분들이 말씀하시는 것처럼, 멀티콥터와 RC 모델은 일반적으로 매우 위험합니다. 특히 테스트중엔 더 위험하고요. 아래는 몇가지 간단한 지켜야 할 사항들입니다.비행시킬 것이 아니라면 절대로 프로펠러를 꼽은 채 절대 시동을 걸지 마세요.처음으로 설정하거나 펌웨어를 설치하거나 기타 의심스러운 상황에서는 반드시 프롭을 제거하세요. 설치 전(Before Installing) 보다 상세한 정보는 명령어입력방식(CLI), 제어(Controls), 비상대책(Failsafe), 비행모드(Modes)등의 문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Cleanflight 설정프로그램에서 수신기(Receiver)탭을 사용하여 Rx 채널의 중앙값이 1500(후타바 RC의 경우 1520)이고, 조종간을 움직였을 때 최소 최..

드론 쿼드콥터 2016.09.07

클린플라이트 설정- 시작하기 - Getting Started

시작하기(Getting Started) 이 글은 Cleanflight를 사용하여 비행콘트롤러와 기체를 설정하여 날려보지 않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단계별 가이드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RC 지식이 필요합니다. 완전히 아무것도 모르는 분이라면 이 글을 읽기전에 먼저 RC에 대한 개념과 기법(예, 기본적인 조정, 납땜, 송신기 조작 등)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RCGroups나 Youtube show FliteTest 를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면책조항: 이 문서는 계속 변경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러분의 프로젝트의 성공이나 안전을 보장해드리지 않습니다. 이 시점에서 문서는 도움을 위한 가이드 수준으로, 안전과 성공을 위해 반드시 해야하는 것들에 대한 권위있는 체크리스트가 아닙니다. 항상 일반상식과 비..

드론 쿼드콥터 2016.09.06

클린플라이트 설정 - 개요 - Introduction

Cleanflight Cleanflight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Cleanflight는 비행콘트롤러 펌웨어 및 관련 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커뮤니티 프로젝트입니다. 주요 목표(Primary Goals) 커뮤니티가 주도함친밀한 프로젝트 분위기사용자의 필요에 집중함최고의 비행 성능이해가능하고 유지가능한 소스코드 하드웨어 자세한 사항은 비행콘트롤러 하드웨어를 참고하세요.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는 펌웨어(firmware)와 설정도구(configuration tool)등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펌웨어는 비행콘트롤러 보드상에서 실행되는 코드입니다. GUI 설정도구(configurator)는 비행콘트롤러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며, 윈도, OSX, Linux 에서 실행됩니다. 피드백과 기여(Feedback & Co..

드론 쿼드콥터 2016.09.06

F1, F3, F4 비행 콘트롤러

자주 묻는 질문중의 하나가 F1, F3, F4 는 어떤 차이가 있고, 어느것이 성능이 좋느냐 하는 것이다.이 글은 Betaflight 혹은 Cleanflight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만 의미가 있고 유용할 것이다. 이 글은 F1 및 F3만 집중적으로 다룬다. 현재의 비행컨트롤러 중 대다수가 이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F1, F3, F4의 의미? 기본적으로 F1, F3는 비행콘트롤러의 두뇌인 STM32 프로세서의 다른 시리즈이다. STM32 시리즈는 현재 F7, F4, F3, F2, F1, F0, L4, L1, L0, W 등 10가지가 있다. F1 비행 콘트롤러의 좋은 예가 Naze32 와 CC3D이며, F3 보드로는 X-Racer, Motolab Tornado, Seriously Pro ..

드론 쿼드콥터 2016.09.01

레이싱 드론용 비행콘트롤러

비행콘트롤러(flight controller)는 쿼드콥터의 균형을 유지하고 조정하기 위하여 센서 데이터, 사용자 명령 등을 읽어 모터 속도 등을 조절하는 회로판이다. 요즘의 모든 멀티콥터 비행 콘트롤러는 자이로(Gyroscopes)와 가속도계(Accelerometer)가 탑재되어 있으며, 고급 비행콘트롤러 중에는 기압계(barometer)와 전자나침반(magnetometer), GPS 등을 탑재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는 방향을 유지하고 기압계는 고도를 유지하며, GPS는 자동 운항이나 Fail-safe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많은 비행콘트롤러는 비슷한 하드웨어 혹은 센서를 사용하지만, 소프트웨어와 계산 알고리듬은 달라서 비행 특성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르다. 이때문에 다른 비행콘트롤..

드론 쿼드콥터 2016.08.30

레이싱드론 시뮬레이터 설정방법

레이싱드론을 날리고 싶다면 먼저 시뮬레이터부터 날려보셔야 합니다. 천부적인 소질이 있다면 몰라도 아크로(ACRO) 모드로 띄워보면 불과 몇초도 띄우기가 힘들거든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충분히 연습을 해야만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시뮬레이션 프로그램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저는 아는 분이 추천해준 FPV Freerider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가격도 4.99달러. 참 착합니다. 확장버전 FPV Freerider Recharged도 있습니다. ㅎㅎ 이것도 아까우면 그냥 데모 버전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소가 한군데 뿐이라는 것 뿐 동일합니다.FPV Freerider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USB 콘트롤러를 통해 조종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면 그냥 게임이라고 생각하면 될겁니다...

드론 쿼드콥터 2016.08.22

레이싱드론 조립하기(1) - 부품

며칠전 레이싱드론을 조립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저는 알려준 대로 부품을 구입해서, 조립하는 걸 지켜보면서 배운 것 뿐입니다. 그래도 다음번을 위해서라도 조립했던 과정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면서요.일단 구입 부품입니다. 맥스드론에서 구입한 목록. 총 248,000원. 여기에서 중요한 건 Vector Black Frame 과 ESC 그리고 Flight Controller 입니다.다음 하비존에서 구입한 목록 : 총 96,800원 마지막으로 드론프렌즈에서 구매한 부품. 총 233,800원 총 비용은 578,600원 정도입니다. 생각보다 많이 나왔습니다. 제일 중요한 부품인 프레임+모터+ESC+FC 만해도 32만원정도 되네요. 직구를 하고 싼 부품을 사용하면 15-20만원정도에..

드론 쿼드콥터 2016.08.17

Tower 앱으로 자동미션 날리기

Mission Planner에서 항공사진 촬영 계획 수립하면 이제 드론을 날려야죠. 촬영장소로 이동한 후에는 드론을 날리기 좋은 곳에 설치하고 절차에 따라 시동을 걸고 날리면 됩니다. 그 과정은 쿼드콥터 날리기 총정리를 참고하면 됩니다. 이 글은 이중에서도 날리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원래는 Futaba 14G와 같은 송신기를 사용하여 제어하지만, 제가 몇번 날려보니, 자동 미션을 수행할 경우 구지 송신기로 제어할 필요가 전혀 없었습니다. 어차피 기체의 현재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지상국 앱을 동시에 운영해야 하는데, 송신기로 제어하다가 지상국 앱으로 제어하다가 하다보면 오히려 혼란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제 경우엔 안드로이용 지상국인 Tower 를 사용하여 제어를 했습니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송신..

드론 쿼드콥터 2016.04.01

Pixhawk 쿼드콥터의 비행중 배터리 전압 하강 문제

제가 조립한 드론은 DJI Flamewheel F450 프레임에 Pixhawk 비행콘트롤러, Quattro 4 in 1 ESC, DJI 2212 /920KV 모터를 달았습니다. 그리고 다리와 캐논 카메라를 부착했고요. 총무게는 1.8 kg 정도입니다. 겨울동안은 날리지 못하고 있다가 지난 주 처음으로 시범비행을 했고요, 엊그제는 정식으로 촬영을 나갔습니다. 그런데 배터리와 관련하여 이상한 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처음 장착을 하면 4.2V * 4 = 16.8 볼트 정도가 되는데, 일단 시동을 걸면 전압이 뚝뚝 떨어지고... 날기 시작하면 15.4 볼트 정도가 되고... 얼마 날리지 않아 Battery Failsafe 한계로 설정한 3.7V * 4 = 14.8V 이하로 떨어진다는 겁니다. 그로 인해 약 2분 ..

드론 쿼드콥터 2016.03.30